소득법인부가세법
법인지방소득세 안분계산
법인지방소득세 안분계산은 둘 이상의 지방자치단체에 사업장이 있는 경우로서 법인지방소득세를 신고하려는 내국법인은 법인지방소득세 과세표준 및 세액신고서에 법인지방소득세의 총액과 본점 또는 주사무소와 사업장별 법인지방소득세의 안분계산 내역 등을 적은 법인지방소득세 안분명세서를 첨부하여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장에게 서면으로 제출하여야 한다. 전자신고한 경우에는 이를 제출한 것으로 본다. 1. 법인지방소득세 안분계산 법인지방소득세 안분계산은 둘 이상의 지방자치단체에 법인의 사업장이 있는 경우에는 … Read more
부동산임대업 주업법인 성실신고확인서
부동산임대업 주업법인 성실신고확인서는 부동산임대업 또는 부동산수입과 금융소득이 50%이상인 법인, 성실신고대상자로서 법인으로 전환한 후 3년 이내인 내국법인, 법인전환한 법인을 전환일로부터 3년 이내에 인수한 다른 내국법인은 세무사나 공인회계사 또는 세무법인이나 회계법인의 성실신고확인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 1. 성실신고 확인제도 부동산임대업 주업법인 성실신고확인서는 2018년 1월 1일 이후 개시하는 사업연도부터 성실신고 확인제도가 도입되었습니다. 성실신고 적용대상 법인은 성실한 납세를 위하여 … Read more
토지등 양도소득에 대한 법인세
토지등 양도소득에 대한 법인세는 각 사업연도 소득에 대한 법인세에 추가하여 납부하는 법인세 입니다. 지가급등지역으로 지정된 지역에 소재하는 토지 및 건물을 양도하여 발생하는 양도소득, 특정한 주택의 양도소득, 비사업용토지의 양도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득, 주택을 취득할 수 있는 권리의 양도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득이 과세대상이며 영리법인, 비영리법인, 내국법인, 외국법인 모두 납세의무자 입니다. 1. 토지등 양도소득에 대한 법인세 세율 … Read more
1. 법인세 세무조정 전 준비사항
법인세 세무조정 전 준비사항은 법인의 세무조정을 수행하기 전에 해당 법인에 대하여 반드시 확인해야 할 내용을 사전에 파악하고 진행하는 것이 오류를 방지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1. 신설법인 해당여부, 업종확인, 중소기업여부, 본점소재지, 사업연도 월수 (1) 신설법인의 경우에는 감가상각방법신고, 내용연수 신고, 재고자산평가방법 등 신고사항이 있으며, 사업연도가 12개월이 아닌 경우가 있으므로 감가상각범위액 계산, 법인세산출세액, 기업업무추진비 한도액의 크기가 다르게 나타나므로 … Read more
가업상속공제의 사후관리
가업상속공제의 사후관리는 가업상속공제를 받은 상속인이 5년간 해당 가업에 계속하여 종사하고 해당 상속인의 지분이 감소하지 않아야 하며 가업용 재산을 40%이상 처분하지 않아야 하는 등 상속 개시 당시의 현황을 계속 유지하여야 합니다. 고용유지에 있어서도 상속개시일로부터 5년간 정규직 근로자 수의 전체 평균이 상속개시일이 속하는 과세기간(사업연도)의 직전 2개 과세기간(사업연도)의 정규직 근로자 수 평균의 90% 이상을 유지하여야 하며 … Read more
4. 상속세 납세지
상속세 납세지란 납세의무자가 세법에 따른 의무를 이행하고 권리를 행사하는데 기준이 되는 장소입니다. 이는 관할 세무서를 결정하는 기준이 됩니다. 과세표준신고서는 신고 당시 그 국세의 납세지를 관할 하는 세무서자에게 제출하여야 합니다. 이 경우 과세표준신고서를 관할이 아닌 세무서장에게 제출된 경우에도 신고의 효력에는 영향이 없습니다. 국세의 과세표준과 세액의 결정 또는 경정결정은 그 처분당시(결정 경정하는 때)의 그 국세의 … Read more